많은 인생의 교훈을 주는 고전의 대표적 작품인 <삼국지>를 경영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책으로 저자는 <삼국지>의 세 주인공인 조조, 유비, 손권이 보여준 행적에 담긴 경영학적 의미를 풍부한 경험과 예리한 안목으로 짚어내고 있다..
개인의 처세는 물론이고 국가경영의 전략까지 배울 수 있는 <삼국지> 속에서는 리더가 알아야 할 모든 지혜가 담겨져 있는데, 후한 말 수많은 영웅들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상황에서도 조조, 유비, 손권 세 영웅은 살아남았고, 결국 이들은 천하를 삼분하였다.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었던 상황 속에서 이들이 어떻게 나라를 건설하였고, 발전시킬 수 있었는지에 대해 저자 나름대로 분석하고 있는 책이다. 또한 위·촉·오 삼국의 리더들이 어떻게 인재를 선발해서 추진력을 이끌어 냈으며, 어떤 승부수를 띄웠는지를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다.
조조, 유비, 손권 세 영웅은 현대까지 훌륭한 리더로 손꼽히는 되는 그럴만한 이유가 분명이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먼저 조조는 몸소 전장을 누비며 싸움을 주도했다는 점을 배워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리더들은 자기는 뒤에서 명령만 내리고 앞장서지 않았으나, 조조는 솔선수범하여 선두에서 지휘를 하였다는 점에서 리더의 참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조조를 위대한 CEO라 칭할 수 있다.
삼국지에 나타난 조조의 모습은 어떤 땐 정면승부를 하였고, 어떤 땐 꾀와 외교로, 또 어떤 땐 거짓된 계략과 속이는 전술로 적을 제압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런 모습 속에서 조조를 간신이라고도 하지만, 그는 분명히 문무를 겸한 훌륭한 CEO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조 진영에는 싸움 잘하는 무장, 꾀가 많은 모사꾼, 병참 보급에 뛰어난 경제 관료, 글 솜씨가 좋은 선비, 유능한 사법 관리, 명령만 내리면 돌진하는 행동파에서 대외용으로 모양 좋은 명사 그룹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국가 경영에 필요한 온갖 유형의 인재들이 즐비하였다.
조조는 이들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요한 때, 필요한 곳에 그런 인재를 잘 등용하여 활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는 사람의 잠재력을 재빨리 간파하여 적정한 경력관리를 통해 인재를 육성하기도 하는 등 인재활용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유비에게서는 위대한 경영자의 이미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대한 경영자는 당장 손해를 보더라도 이상과 원칙을 지키는 배짱과 확고한 의지가 필요하다. 적당히 타협하면 보통의 경영자는 될 수 있을지 몰라도 위대한 경영자는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삼국지>를 읽다보면 유비는 제갈공명이나 방통 같은 참모가 좋은 계책을 건의해도 유비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거나 거절하여 애를 먹거나 답답해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말미에 가게 되면 유비의 판단이 옳은 경우가 많았던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유비는 마음대로 판단하고 행동해도 이치에 맞는 것이었으며, 지혜롭게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타고난 CEO라 할 수 있다.
유비의 리더십은 제갈공명을 자기 사람으로 만드는 삼고초려에서 알 수가 있는데, 훌륭한 사람이라면 자기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지극한 정성을 다하는 모습을 배울 수 있다. 유비와 제갈공명은 공식적으론 임금과 신하의 관계이지만, 실질적으론 같은 이념을 가진 동지요, 가족이며, 공동운명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둘은 맨주먹으로 촉나라를 세운 창업 동지이기도 하는데, 대개의 경우 창업 동지도 어느 정도 발전을 하게 되면 나중에 안 좋게 헤어지기 쉽다.
하지만 이 둘은 끝까지 아름다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유비의 훌륭한 인재에 대한 정성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삼고초려와 같이 좋은 사람을 자기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윗사람이 지극 정성을 다하는 모습이 있어야 하며, 아랫사람은 좋은 주인을 정했으면 목숨을 바칠 각오로 충성해야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교훈이라 생각한다.
유비의 이런 면을 오늘날 많은 CEO들이 배워야 할 덕목이라 생각한다. 아무리 지위가 높다고 하더라도 훌륭하고 기업에 필요한 인재라면 CEO가 직접 자기 사람으로 만드는데 정성을 다해야 할 거라는 메시지이다.
한편 기업을 창업하기도 힘들지만 창업한 기업이 성장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오나라의 손권은 뛰어난 능력으로 국가를 발전시키고 지키는데 성공한 명CEO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통이 크고 신중한 성격으로 물려받은 인적 자원을 잘 관리했을 뿐만 아니라 좋은 사람을 많이 초빙하고 육성하였던 CEO라 할 수 있다. 또한 실사구시(實事求是)적 성격에다 생각이 유연했던 인물이라 평가되고 있다.
손권은 원칙 때문에 손해 보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았으며, 실리를 위해서라면 체면에 별로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였다는 점에서 특히 외교 감각이 탁월하여 당시 물고 물리는 삼국 관계에서 항상 최선의 선택을 했기 때문에 오나라의 3대째 CEO로서는 가장 이상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유비에게 제갈공명이 있었다면 손권에게는 육손이 있었다. 손권은 육손을 발탁하는데 있어서 중신들로 하여금 육손을 추천하도록 유도하여, 중신들의 위상을 높여 주었고, 젊은 육손의 위신도 세워주기 위해 세심한 정지작업도 하였다는 점을 배워야 할 것이다. 특히 육손의 임명식을 성대하게 거행해 주었고, 자신의 보검을 직접 풀어 주며, 누구든지 명을 어기면 먼저 참하고 후에 보고하라는 명을 내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것은 자신이 믿는 부하에게 전폭적인 신뢰와 권한을 주어 소신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준 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많은 기업의 오너들이 전문경영인을 채용하여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데, 손권의 이런 면을 배워야 할 것이다. 사장에게 일을 맡기고도 안심이 되지 않아 의구심을 갖거나 간여하게 되면 사장의 힘이 약해져서 제대로 일을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일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단 맡겼으면 끝까지 믿음을 져버려서는 안 될 거라는 교훈이다.
* 전박사의 핵심메세지
<삼국지>라는 책이 워낙 유명한 고전이기 때문에 그 내용은 많이들 알고 있겠지만 세 영웅들의 경영자로서의 평가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삼국지 경영학>에서 명쾌하게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기업경영에는 창업을 하는 창업자와 2세 경영을 하는 수성의 경영자가 있다. 조조와 유비는 창업의 CEO이며, 손권은 수성의 CEO이다. 누구보다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를 경영한 위대한 CEO 조조, 어진 인품으로 인재를 보물로 여긴 깊고 큰 그릇의 CEO 유비, 실리 외교와 인재 관리로 오나라를 발전적으로 수성에 성공한 수성의 명CEO 손권에게서 오늘날 국가경영과 기업경영에 필요한 노하우를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글/전형구 독서경영 컨설턴트
'♧기 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 보다 예쁜 아들 (0) | 2011.09.17 |
---|---|
[스크랩] "우리 실버들의 禮義 십계명" (0) | 2011.08.30 |
[스크랩] 哀 歡(애환) (0) | 2011.04.03 |
생수공장 옆에 구제역 매몰지가 있다. (0) | 2011.02.26 |
에버그린 (0) | 2010.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