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妓生들의 名詩

水海子村 (47×68㎝)
晩 春 竹 西
꽃이 지는 봄은 첫 가을과 같네
밤이 되니 은하수도 맑게 흐르네
한 많은 몸은 기러기만도 못한 신세
해마다 임이 계신 곳에 가지 못하고 있네
落花天氣似新秋
夜靜銀河淡欲流
却恨此身不如雁
年年未得到原州
지은이 : 죽서(竹西). 철종 때 사람. 서기보(徐箕輔)의 소실

西雙版納湖畔 (47×68㎝)
長 霖 翠 蓮
열흘이나 이 장마 왜 안 개일까
고향을 오가는 꿈 끝이 없구나
고향은 눈앞에 있으나 길은 먼 千里
근심 어려 난간에 기대 헤아려보노라.
十日長霖若未晴
鄕愁蠟蠟夢魂驚
中山在眼如千里
堞然危欄黙數程
지은이 : 취연(翠蓮). 자는 일타홍(一朶紅). 기생
참 고 : 장림(長霖)긴 장마
중산(中山)지명. 사랑하는 임이 있는 곳, 또한 고향

寺谷 會鶴里 (47×69㎝)
秋 雨 慧定
금강산 늦가을 내리는 비에
나뭇잎은 잎마다 가을을 울리네
십년을 소리 없이 흐느낀 이 신세
헛된 시름에 가사만 젖었네
九月金剛蕭瑟雨
雨中無葉不鳴秋
十年獨下無聲淚
淚濕袈衣空自愁
지은이 : 혜정(慧定). 여승(女僧).
참 고 : 가의(袈衣)중이 입는 옷.

台霞里 雪景 (53×97㎝)
청산은 내 뜻이오. 黃眞伊
靑山은 내 뜻이오. 綠水는 임의 情이로다
綠水 흘러간들 靑山이야 변할 손가
綠水도 靑山을 못 잊어 울면서 가는가
황진이(黃眞伊)조선 중종 때의 시인이자 명기(名妓)였다.
일명 진랑(眞娘)이라 불렀고, 기명(妓名)은 명월(明月)이였다.
개성에서 태어났으며 주요작품은/ 만월대 회고시/
박연폭포시/봉별소양곡시/등...

魯家村 (57×88㎝)
離 別 一枝紅
말은 다락 아래 매어 놓고
이제 가면 언제나 오시려나. 은근히 묻네
임 보내려는 때 술도 떨어지고
꽃 지고 새가 슬피 우는구나.
駐馬仙樓下
慇懃問後期
離筵樽酒盡
花落鳥啼時
지은이 : 일지홍(一枝紅). 성천(成川)의 기생.
참 고 : 선루(仙樓) 신선이 산다는 다락.
'♧감 동 의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가슴이 찡한 올해의 이메일 (0) | 2010.07.22 |
---|---|
[스크랩] 옛 명기들의 애절한 그리움의 시 (0) | 2010.07.14 |
[스크랩] 금이 간 항아리 (0) | 2010.07.14 |
[스크랩] ♣ 평생 간직할 멋진 말 ♣ (0) | 2010.07.05 |
[스크랩] 현충일 (0) | 201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