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明, 鄭瑄의 저술『昨非庵日纂』名句모음
작비금시(昨非今是)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지난해 학술회의차 대만에 갔을 때,
묵었던 호텔 로비 벽에 걸린 대련 글씨에 마음이 끌렸다.
"고요 속에 언제나 지난 잘못 생각하고,
한가할 땐 젊은 날 읽던 책을 다시 읽네
(靜裏每思前日過, 閑時補讀少年書)."
반성 없는 나날은 발전이 없다. 지난 잘못을 돌이켜 오늘의
밑바대로 삼는 자세가 필요하다. 앞으로 나가는 것만 알고,
뒤를 돌아볼 줄 모르면 슬프다.
그래서 젊은 시절 읽었던 책을 먼지 털어 꺼내 읽으며,
한 번씩 오늘 내 삶의 자세를 가다듬어 보는 것이다.
도연명(陶淵明)은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제껏 마음이 육신의 부림 받았으니, 어이 구슬피 홀로 슬퍼하리오.
지나간 일 소용없음 깨달았지만, 앞일은 따를 수 있음 알고 있다네.
실로 길 잃음이 아직 멀지 않으니, 지금이 옳고 지난날이 그른 줄을 깨닫는다오
(旣自以心爲形役, 奚惆愴而獨悲.
悟已往之不諫, 知來者之可追.
實迷塗其未遠, 覺今是而昨非)."
붕 떠있던 허깨비 인생을 걷어내고, 내가 주인 되는 삶을 살겠다는 선언이다.
작비금시(昨非今是)! 어제가 잘못이고 오늘이 옳다.
사람은 이렇듯 나날이 향상하는 작비금시의 삶을 살아야지,
잘나가다 실족하는 작시금비(昨是今非)의 길을 가면 안 된다.
춘추 시대 위(衛)나라 대부 거백옥(蘧伯玉)은 50세 때 인생을 돌아보곤
지난 49년간의 삶이 잘못되었음을 알았다.
그래서 지난날의 나와 과감히 결별하고 자신의 삶을 새로 포맷했다.
50세를 '지비(知非)'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나온 말이다.
'회남자(淮南子)' "원도훈(原道訓)"에 보인다.
명나라 때 정선(鄭瑄)은 자신의 거처 이름을
아예 작비암(昨非庵)으로 지었다.
그 안에서 날마다 지난 삶을 돌아보며 허물을 걷어냈다.
인생의 성찰을 담은 '작비암일찬(昨非庵日纂)'이란 귀한 책을 남겼다.
작비암일찬(昨非庵日纂)의 명구모음
配勵(배려)
부귀의 처지에 있을 때는빈천한 사람의 힘들고 괴로움을 알아야 하고,
젊어 힘 좋은 시절에는
모름지기 늙고 쇠한 이의 힘든 줄을 생각해야 한다.
편안하고 즐거운 곳에 있을 때면
마땅히 환난에 처한 이의 사정을 이해해야 하고,
곁에서 지켜보는 입장에 놓였을 때는
그 속에 있는 사람의 힘든 마음을 헤아려 주어야 한다.
處富貴之地, 要知貧賤的痛痒. 처부귀지지, 요지빈천적통양.
當少壯之日, 須念衰老的辛酸. 당소장지일, 수념쇠로적신산.
居安樂之場, 當體患難人景況. 거안락지장, 당체환난인경황.
處傍觀之地, 要知局內人苦心. 《昨非庵日纂》
처방관지지, 요지국내인고심. 《작비암일찬》
*痒 : 앓을 양
빈천의 처지에 있지 않으면서 그를 이해하고,
늙지도 않았으면서 그 마음을 헤아리며,
환난을 겪지 않고도 그 심정을 알아주고,
자기 일도 아닌데 남의 어려움을 함께 나눈다.
참으로 힘든 일이나 이것이 사람의 도리이다.
최선을 다하자!
休怨我不如人,不如我者尙衆.
休誇我能勝人,勝如我者更多.
휴원아불여인,불여아자상중.
휴과아능승인,승여아자경다
내가 남만 못하다고 원망하지 말라
나만 못한 사람이 그래도 많으니
내가 남보다 낫다고 뽐내지 말라
나보다 나은 이가 더욱 많나니
明, 鄭瑄(정선)의 저술『昨非庵日纂』에서...
고인의 격언과 의행을 엮은 처세격언집
공연한 자기 비하로 자신을 학대하는 버릇이 있는 사람이 있다.
포만감에 들떠 괜스레 남을 우습게 여기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어디 그런가? 나는 그렇게 못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그렇게 잘난 것도 아니다.
다만 주어진 위치에서 최선을 다할 뿐이다
가뿐함
家雖日漸貧, 猶未苦饑凍.
身雖日漸老, 幸無急病痛.
眼逢鬧處合, 心向閑時用.
旣得安穩眠, 亦無顚倒夢.
《昨非庵日纂》
가수일점빈, 유미고기동.
신수일점노, 행무급병통.
안병뇨처합, 심향한시용.
기득안온면, 역무전도몽.
《작비암일찬》
집이 비록 날로 점차 가난해져도
오히려 주리고 추위에 떠는 괴로움이 없고,
몸은 비록 날마다 조금씩 늙어 가지만
병들어 아픈 다급함이 없음을 다행으로 여긴다.
눈은 떠들썩한 장소와 마주 했어도
마음만은 한가한 때를 향하여 있다.
이윽고 편안히 잠자리에 들면,
또한 꿈자리가 어지럽지 않다.
주리고 추위에 떨지 않을만큼의 가난,
병들어 아프지 않을 정도의 만년.
몸은 복잡한 저자 가운데 있어도
마음에는 한가로운 구름을 띄워 놓고,
잠자리에 드니 꿈자리가 사납지 않고 그 맛이 달다.
가뿐하지 않은가?
보약
남들은 큰 소리로 말하지만 나는 나직히 말한다.
남들은 번뇌가 많지만 나는 마음에 담아둔 일이 적다.
남들은 두려워 하지만 나는 성내지 않는다.
담담하게 아무 것도 하지 않지만 마음은 절로 충만하다.
이것이 바로 장생의 보약이다.
人大言, 我小語. 人多煩, 我少記.
人悸怖, 我不怒. 淡然無爲 神氣自滿.
此長生之藥. 《昨非庵日纂》
나직히 소리 낮추어 말하고,
마음에 담아 기억하는 일이 적으며,
어떤 일에도 성내지 아니하니
마음 속에 가득히 고여오는 충만함이 있다.
애써 작위하지 않았는데
모든 것은 절로 그렇게 되었다.
참 고마운 일이다.
의원
씀씀이를 아끼면 가난을 벗어나게 하고,
거문고를 타면 조급함을 낫게 해준다.
분수에 편안하면 탐욕을 낫게 하고,
제 힘을 헤아리면 싸움을 면하게 해준다.
참선을 하면 망상을 없애주고,
혼자서 잠을 자면 음란함을 낫게 하며,
아프도록 마시면 근심을 낫게 하고,
책을 읽으면 속됨을 치료해 준다.
이를 일러 으뜸가는 의원이라 한다.
省費醫貧, 彈琴醫躁,
安分醫貪, 量力醫鬥,
參禪醫想, 獨寐醫淫,
痛飮醫愁, 讀書醫俗.
此之謂國手.
《昨非庵日纂》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 병통이 되는 것이 적지 않다.
가난은 사람을 주눅들게 하고, 조급함은 큰일을 그르치게 하며,
탐욕은 제 몸을 망치고, 싸움질은 이웃과의 관계를 해친다.
망녕된 생각은 정신을 어지럽히고, 음란함은 절도를 잃게 하며,
근심은 마음을 녹인다. 그 중에서도 속스러움이야말로 어찌해
볼 수 없는 천박함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준다.
아! 이런 병통을 고쳐주는 처방이라면
가장 으뜸 가는 의원이 아니겠는가?